약식명령이란? 약식 명령의 정의와 대처법
약식명령이란? 약식명령의 정의와 대처법 약식명령이란 형사소송법 제 448조의 규정으로, 지방법원이 그 관할에 속한 사건에 대하여 검사의 청구가 있는 때에 공판절차 없이 약식명령으로 피고인을 벌금, 과료, 또는 몰수를 과하는 재판을 말합니다. 즉결심판과 유사하지만, 약식명령에 의해서는 구류에 처할 수 없다는 점-청구권자가 검사라는 점에서 차이가 납니다. 약식명령의 청구가 있으면 법원은 검사가 제출한 서류 및 증거물에 대한 서면심사를 합니다. 검사가 약식명령을 청구하더라도 그 사건이 약식명령으로 할 수 없거나 약식명령으로 하는 것이 적당하지 않다고 인정되는 때 법원은 통상의 공판절차에 의해 심판하여야 합니다(제450조). 즉, 쉽게 말해서 가벼운 범죄(단순 폭행 가담, 시위, 음주운전 등) 에 대해서 피고인..
알면 도움되는 법률이야기/형사
2010. 4. 19. 07:00